결재선 설정 및 문서기안 도움말
1. 개인 결재선 설정 방법
1. 최종[결재]권자는 결재순서 최하위에 배치 함.
2. [공람]자는 순서에 상관없이 배치해도 됨.
3. [전결]권자는 이후단계에 최종[결재]자를 필히 추가해야함.
4. [협조]자는 최종결재 이전단계에 설정
5. [합의]권자는 최종결재 이전단계에 설정
6. [선결]자는 최상위에 배치 함.
7. 검토자, 협조자, 전결권자, 결재권자 순으로 결재선 설정
- 결재선명을 먼저 추가한 후 결재권자를 설정함.
- 조직도에서 결재할 직원선택 후 결재종류를 선택
- 결재선은 자신(기안자)을 기준하여 결재권자 순서배치
- 결재 대상자별 다수의 결재선명을 추가하여 선택 사용
- 결재권자 결재순서 지정 후 순서 변경은 결재권자를
  선택한 후 상하로 이동 결재 순서변경
2. 결재 방법 [순차, 병렬]
가. 순차결재[결재] 결재선에 지정된 결재 순서대로 1번 [결재]권자부터 2번, 3번, [최종결재]권자 순서로 순차적인 결재진행으로 문서종결 처리
나. 병렬결재[합의] 본사 : 2인 이상 지정된 [합의] 결재권자 중 1인만 결재해도 다음 [결재]순서 결재권자에게 결재권한이 병렬이동하여 문서종결처리 ( [합의] 결재완료 후 미결재한 [합의] 결재권자는 최종결재 순서에 상관없이 해당문서 결재 가능함)

사업단 및 사업참여자 : 최종결재권을 갖은 책임사업관리기술인, 현장대리인, 감독관 등을 제외한 문서검토 단계의 순차적인 결재인원이 다수인 경우는 내부검토 후 [합의]결재를 하면 문서를 쉽게 종결처리 할 수 있음.
3. 결재 종류 [용어 설명]
구 분 용어 및 기능
결재 기안문서를 집행 결정권을 가진 검토자, 최종결재자가 승인 후 공문의 내용을 집행
공람 문서의 내용을 공유할 목적으로 동일한 문서에 다수의 구성원을 지정 열람시키는 행위(최종결재자 완결 후 공람자로 지정된 직원은 문서 공람함에서 공람가능)
전결 하위결재권자가 회사 위임전결규정(위임의 한계 내에서 결재권을 행사)에 의해 최종승인권자를 대리하여 완결처리("전결" 기록됨)
협조 기안/접수한 문서가 타부서에서도 업무상 알아야 할 내용인 경우 또는 다른 부서의 부서장의 동의가 필요한 경우 타부서 팀장 또는 부서장의 협조 결재
협조자 지정순서 협조부서 지정 결재는 타부서의 협조를 우선 동의한 후 내부팀장/부서장 결재순으로 완결처리(팀장 또는 부서장 결재순서 설정 필요)
선결 최종결재권자가 [선결] 완결된 문서를 지정된 차순위 결재자 순서로 결재 진행
합의 다수의 중간단계 결재권자가 검토 합의 결재(병렬결재)
대결 결재권자가 부재중일 경우 직무대행자가 결재를 대리하는 행위 ("대결" 기록)
사후보고 최종 결재권자가 지정한 권한대행자가 완결 처리한 전결/대결문서를 완결후에 열람하는 기능(전결 또는 대결자 결재시 결재권자 기결함에서 열람가능)
배포/배부 결재완료 후 수신자외의 타부서 공람 또는 참조가 필요한 문서는 문서발송대장/문서접수대장에서 해당부서로 발송배포(배부) 처리
대외비 내부 보안문서로서 문서결재선에 지정된 결재권자만 문서를 열람 가능
긴급결재 결재문서 결재 우선순위를 설정함. 결재권자에게 다수의 미결문서 중 최상위 목록에 배치됨.
수신자 문서수신처의 기관장 또는 회사, 대표이사, 주소 등을 기입
참조자 문서수신처의 문서처리 담당자, 대내/대외 구분에 따라 참조자 선택 또는 직접기록
문서경유 다른 기관, 부서의 검토가 필요한 경우 이를 처리하기 위한 문서행위 (보통 감독관 경유, 사업단 경유 등) 검토 후 결재 처리하여 문서를 발송한다.
공문서 대·내외적으로 업무상 작성하거나 발신/수신한 문서(도면·사진·테이프·필름·슬라이드·전자매체 등의 특수매체기록 및 전산망 탑재 기록 등을 포함)
결재 서명 기안자·검토자·협조자·결재권자 또는 발신명의인이 문서에 자필로 자기의 성명을 다른 사람이 알아볼 수 있도록 한글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문서번호 문서번호는 기안시 임시번호가 부여되며, 최종 결재권자가 승인완료시 결재순으로 순차적 자동생성 부여됨.
대내/대외 구분 시스템에서 대내구분은 시스템에 등록된 각 사업참여자를 말하며, 대외는 시스템에 등록되어있지 않은 대외기관 또는 타회사이다